분류
너비 우선 탐색, 깊이 우선 탐색, 그래프 이론, 그래프 탐색
문제 설명
적록색약은 빨간색과 초록색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한다. 따라서, 적록색약인 사람이 보는 그림은 아닌 사람이 보는 그림과는 좀 다를 수 있다.
크기가 N×N인 그리드의 각 칸에 R(빨강), G(초록), B(파랑) 중 하나를 색칠한 그림이 있다. 그림은 몇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는데, 구역은 같은 색으로 이루어져 있다. 또, 같은 색상이 상하좌우로 인접해 있는 경우에 두 글자는 같은 구역에 속한다. (색상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같은 색상이라 한다)
예를 들어, 그림이 아래와 같은 경우에
RRRBB
GGBBB
BBBRR
BBRRR
RRRRR
적록색약이 아닌 사람이 봤을 때 구역의 수는 총 4개이다. (빨강 2, 파랑 1, 초록 1) 하지만, 적록색약인 사람은 구역을 3개 볼 수 있다. (빨강-초록 2, 파랑 1)
그림이 입력으로 주어졌을 때, 적록색약인 사람이 봤을 때와 아닌 사람이 봤을 때 구역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00)
둘째 줄부터 N개 줄에는 그림이 주어진다.
출력
적록색약이 아닌 사람이 봤을 때의 구역의 개수와 적록색약인 사람이 봤을 때의 구역의 수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.
예제 입력
5
RRRBB
GGBBB
BBBRR
BBRRR
RRRRR
예제 출력
4 3
코드 - 적록색약.java
import java.util.Scanner;
import java.util.Arrays;
public class Main {
static int n;
static char[][] photo;
static boolean[][] isVisited;
// 이동할 4가지 방향을 정의 (상, 하, 좌, 우)
static int[] dx = {0, 0, -1, 1};
static int[] dy = {-1, 1, 0, 0};
// 깊이 우선 탐색 (DFS)을 수행하는 함수
public static void dfs(int x, int y, char color) {
isVisited[x][y] = true;
for (int i = 0; i < 4; i++) {
int nx = x + dx[i];
int ny = y + dy[i];
if (nx < 0 || nx >= n || ny < 0 || ny >= n) continue;
if (!isVisited[nx][ny] && photo[nx][ny] == color) {
dfs(nx, ny, color);
}
}
}
// 구역의 수를 세는 함수
public static int countRegions() {
int cnt = 0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if (!isVisited[i][j]) {
dfs(i, j, photo[i][j]);
cnt++;
}
}
}
return cnt;
}
// 방문 여부 배열을 초기화하는 함수
public static void resetVisited() {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Arrays.fill(isVisited[i], false);
}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anner = new Scanner(System.in);
n = scanner.nextInt();
photo = new char[n][n];
isVisited = new boolean[n][n]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photo[i] = scanner.next().toCharArray();
}
// 적록색약이 아닌 사람이 보는 경우의 구역 수를 계산하고 출력
System.out.print(countRegions() + " ");
// 적록색약인 사람이 보는 경우를 위해 'G'를 'R'로 변경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if (photo[i][j] == 'G') photo[i][j] = 'R';
}
}
// 방문 여부 배열을 초기화하고, 적록색약인 사람이 보는 경우의 구역 수를 계산하여 출력
resetVisited();
System.out.println(countRegions());
}
}
코드 분석하기
- 코드는 DFS(깊이 우선 탐색)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주어진 그림에서 구역의 개수를 세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. 그림은 2차원 배열로 표현되며 각 칸에는 R(빨강), G(초록), B(파랑) 중 하나의 색상이 채워져 있습니다.
- DFS 함수는 시작 위치와 색상을 인자로 받아 같은 색상의 이웃 칸을 재귀적으로 방문합니다. 방문한 칸은 isVisited 배열에서 체크하여 중복 방문을 방지합니다.
- countRegions 함수는 모든 칸을 순회하며 아직 방문하지 않은 칸에서 DFS를 시작합니다. 각각의 DFS 호출은 새로운 구역을 의미하므로 countRegions 함수는 전체 구역의 개수를 계산합니다.
- 처음에는 적록색약이 아닌 사람이 보는 그림에서 구역의 개수를 세고, 그 다음에는 적록색약인 사람이 보는 그림에서 구역의 개수를 세기 위해 'G'(초록색)를 'R'(빨간색)로 변경하고 isVisited 배열을 초기화한 후 같은 과정을 반복합니다.
그럼 이제 깊이 우선 탐색(Depth-First Search, DFS)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.
DFS는 그래프나 트리를 탐색하는 알고리즘 중 하나로, 한 방향으로 갈 수 있는 곳까지 최대한 많이 이동한 후, 다시 돌아와서 다른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입니다. DFS는 그래프의 모든 노드를 방문하고자 할 때 이 방법을 선택합니다.
DFS는 다음의 과정으로 동작합니다.
- 시작 노드를 방문하고 스택에 삽입합니다.
- 현재 방문한 노드와 인접한 노드 중 방문하지 않은 노드가 있다면 그 노드를 방문하고 스택에 삽입합니다. 방문한 노드는 방문 처리를 합니다.
- 방문할 인접 노드가 없다면 스택에서 최상단 노드를 꺼냅니다.
- 더 이상 처리할 노드가 없을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.
DFS는 스택이나 재귀 함수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. 이 코드에서는 재귀 함수를 이용하여 DFS를 구현하였습니다.
백준에서 문제 풀어보기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026
10026번: 적록색약
적록색약은 빨간색과 초록색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한다. 따라서, 적록색약인 사람이 보는 그림은 아닌 사람이 보는 그림과는 좀 다를 수 있다. 크기가 N×N인 그리드의 각 칸에 R(빨강), G(초록)
www.acmicpc.net